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절친도 안알려주는 깃코인(GTC) 패스포트 zkSync 원화상장이슈

Gitcoin

 

깃코인 정의에 대해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오픈 소스 개발자나 코더가 자신의 작업 물을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체인 기반 금융 플랫폼입니다. 2017Project가 처음으로 시작되었으며, 20214월 패러다임이 주도한 시드 라운드에서 1,100만 달러 이상의 금액을 모금하면서 세상에 이름을 알렸죠. 상당한 금액이 모금됨에 따라 재단은 컨센서스에서 독립해서 독자적인 길을 걷고 있습니다. 분기별 보조금, 현상금, 해커톤, Kudos 및 여러 제품들을 통해서 2,800만 달러 이상의 자금을 지원받았으며, 여기에는 유니스왑, 1인치 네트워크, 연파이낸스 등이 참여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그 해 DAO와 거버넌스 역할을 수행할 GTC 코인이 발행되었죠.

이처럼 Gitcoin은 탈중앙화 금융 Defi에 핵심 가치를 고수하면서 디지털 공간에서 기여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로 오픈 소스들에 대한 민주적 자금 지원 조달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Github를 통해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였지만 아무래도 부족한 부분이 있다 보니 GithubGitcoin의 기본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미 오픈 소스 프로젝트에 대해 5천만 달러 이상의 자금을 조달한 이력을 갖고 있으며, 250,000명 이상의 개발자가 혜택을 보고 있죠. 현재 본사는 덴버에 위치하고 있으며, 코인마켓캡 기준 시총 300위권을 보이고 있습니다.

GTC 코인 시세 호재 전망

업비트 BTC 마켓에 상장되어 있는 깃코인의 전망은 상당히 탄탄한 편이라고 생각됩니다. 사실 거래량의 대부분도 바이낸스 거래소에서 이뤄지고 있습니다. 업비트와 빗썸은 6% 정도 밖에 되지 않고 바이낸스 거래소에서 50%에 가까운 볼륨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바이낸스 거래소 시세를 참고하시는 것이 투자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원화 상장 가능성

개인적으로 원화 상장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Project 자체는 상당히 탄탄하다고 생각되며, 해외에서 깃허브가 인지도도 높기 때문인데요. 물론 원화 상장 가능성이 높다고 해서 상장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최근 트렌트가 해외 신규 Project들이 상장되는 경우가 많고, BTC 마켓에서 원화로 상장되는 경우가 워낙 희박하다 보니 큰 기대를 하기는 힘들 듯합니다. 기대를 하기보다는 깃코인이니만큼 깃대를 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 코인이니까 말이죠.

깃코인 패스포트

zkSync는 현재 가장 많은 분들이 기대하고 있는 에어드랍 중 하나죠. zkSync Guild를 통해 에어드랍 자격을 발표했죠. 레벨 1or 2 기준을 충족하면 zkSuccess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으며, 여기에 참여하면 에어드랍 비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그렇기 위해서 몇 가지 절차가 필요합니다. Guild 페이지에서 zkSync 길드에 가입 후 디스코드(3개월 이상 계정)에 참여해야 합니다. 여기까지가 기본 단계이며, 여기서 추가적으로 최소 10개 이상의 트랜잭션, 확인된 이메일 주소, 최소 15점 이상인 깃코인 패스포트를 필요합니다. 그렇기에 자연스럽게 에어드랍 작업하는 분들에게 깃코인 패스포트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죠. 그리고 더 높은 점수를 받기 위해서는 Libertas Omnibus를 보유해야 합니다. zkSync 에어드랍 작업은 이 정도로 정리를 할 수 있는데요. Gitcoin Passport는 소셜미디어 계정 보유, 이더리움네임서비스 네임 보유, 이더리움 NFT 등을 보유하면 추가 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고 하니 팁으로 알고 계시면 좋을 듯합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에어드랍을 더 많이 받고 싶으신 분들은 생태계에 보다 직접적으로 참여를 해야 하는데요. Dapp을 통해 eth 볼륨 증가, Thirdweb을 통한 스마트 컨트랙트 무료 배포, Atlas 3를 통한 민트 참여 등 다양한 방법이 있으며, 리니어나 만타에 연결하면 해당 체인에 대해 더 많은 에어드랍을 받을 수 있다고 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