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크넷(Starknet)은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낮은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영지식 롤업(Zero-Knowledge Rollups, ZK Rollups)을 활용하는 레이어2 블록체인입니다. 온체인 거래와 오프체인 STARK 증명을 결합하여 이더리움의 보안을 유지하면서 높은 처리량과 저렴한 비용을 보장합니다.
스타크넷은 L2와 L1(이더리움 블록체인) 사이에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브릿지(Starkgate)와 월렛 서비스, 온램프(On-Ramp) 서비스와 같은 미들웨어를 제공하여 다양한 디앱이 편리하게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합니다. 또한, 스타크넷은 누구나 스마트 컨트랙트를 배포할 수 있도록 CVM라는 프로그래밍 언어 기반의 가상 머신과 다양한 언어로 작성된 SDK 등의 개발 도구를 제공합니다.
STRK 코인
STRK은 스타크넷 네트워크상의 유틸리티 토큰으로 활용됩니다. 롤업 네트워크에서 트랜잭션 수수료로 사용되며, STRK 보유자는 거버넌스 허브를 통하여 프로젝트 운영에 대한 안건을 상정하고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또한, 향후 STRK는 지분증명 모델 내에서 스테이킹 재원 수단으로 사용될 예정이며, STRK 보유자는 시퀀서를 선택하여 토큰을 위임 스테이킹할 수 있습니다.
현재 스타크넷의 가스 요금은 ETH로 지불되지만, 개발자들은 향후 STRK 토큰으로 지불되는 가스 수수료를 도입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스타크넷의 작동원리
스타크넷은 STARK 기술을 활용하여 이더리움 생태계의 구성성과 보안을 유지하면서 무제한 확장성을 달성합니다. 스타크 기술을 통해 스타크넷은 수많은 트랜잭션들을 하나의 배치로 압축한 뒤 이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는 STARK증명을 생성하며 온체인에서 검증할 수 있습니다. 또한, STARK증명들을 다시 증명하여 하나의 STARK증명으로 합칠 수 있으며, 이를 재귀적 증명(Recursive Proving)이라고 부릅니다.
STARK 증명은 이더리움에 단일 트랜잭션으로 제출되기 때문에 스타크넷 이용 시 기존 이더리움이 가진 장점인 보안성을 유지하면서 높은 처리량과 빠른 처리 속도, 낮은 비용을 달성한다는 가장 큰 장점이 있습니다.
스타크넷코인 전망
스타크넷코인의 전망은 다음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좌우될 수 있습니다.
스타크넷은 STARK 기술을 통해 이더리움과 완벽하게 호환되는 EVM을 제공하며, Cairo라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다양한 DApp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STARK 기술은 제로-노울리지 증명(ZKP)의 한 종류로, 복잡한 계산을 간단한 증명으로 요약하고 검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보안성과 확장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STRK 코인은 거버넌스 토큰으로 사용되며, 투표권과 스테이킹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네트워크의 안전성과 탈중앙화 정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특히 스타크넷은 많은 분야의 프로젝트와 파트너십을 맺고 있습니다. DeFi, NFT, GameFi 등의 DApp 개발을 지원하며, 이더리움 재단, 코인베이스, 비탈릭 부테린 등으로부터 투자를 받았습니다. 이는 네트워크의 효과와 인지도를 증대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처럼 스타크넷은 다른 레이어 2 솔루션과의 경쟁에 직면해 있습니다.
폴리곤, 옵티미즘, 아르비트럼 등은 이미 시장에서 인기를 얻고 있으며, 더 많은 DApp과 사용자를 유치하고 있습니다. 스타크넷은 이들과의 차별화와 협력을 통해 시장 점유율과 생태계를 확장해야 합니다.
STRK 에어드랍
스타크넷 재단은 최근 Dapp 초기 이용자 및 네트워크 기여자 대상으로 총 발행량 100억 개 중 7%에 해당하는 7억 STRK 코인 배포를 진행합니다. 약 130만 개의 지갑에 보상이 지급될 것으로 보이며 단일 지갑 기준 평균적으로 500 STRK ~ 1,000 STRK가 배부될 것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에어드랍 대상에는 이더리움 솔로 및 유동성 스테이크, 스타크넷 개발자 및 사용자, 웹3 생태계 외부의 프로젝트 및 개발자가 포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