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저pbr관련주 저PBR 뜻 의미

정부에서 국내주식 가치상승을위해 주식을 부양하겠다는 정책을 발표하고 코스피와 코스닥 주가 중 상대적으로 pbr이 낮은 증권 종목들이 투자자의 관심을 받으며 상승률이 급등했습니다.

 

이는 옆나라 일본을 벤치마킹하여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을 도입하겠다는 것인데요. 한국의 상장사 평균 pbr이 미국 등 타 선진국 글로벌 수준 이하이고 이것을 끌어 올려 개선하겠다는 것입니다.

pbr

PBR은 주식투자에서 많이 사용되는 재무 지표로, '주가순자산비율'을 나타냅니다. 이는 회사의 주가를 시장가격과 장부가치를 비교하여 산출합니다. 장부가치란 회사가 청산될 경우 주주들이 받게 될 이론적인 자산의 가치를 의미하며, 총자산에서 총부채를 빼서 계산합니다.

 

PBR1 미만, 1보다 작은 값을 가리키며, 해당 주식이 순자산보다 저평가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현재 주가가 비교적 낮게 책정되어 있음을 나타내며, 미래 수익성과 성장성이 양호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pbr주의 관련된 주식

현시점에서 우리나라에서 저pbr 관련주를 알아보면 제조업중에서는 현대모비스(0.45), LG(0.45), 현대위아(0.46), 금호석유(0.58), OCI홀딩스(0.5) 등을 들어볼 수 있으며, 금융업에서는 삼성생명(0.28), 현대해상(0.37), 키움증권(0.52), 한화생명(0.14), 미래에셋생명(0.22) 등을 꼽을 수 있습니다.

계산하는 방법

주식 가격을 주당순자산(bps, (총자산-총부채)/주식수)으로 나누는 것으로 시가총액을 순자산으로 나눈것과 같습니다.

 

이렇게 계산했을시, 만약 저pbr 상태라면 제조회사나 부동산회사의 경우 투자가치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주식 투자를 결정할 때에는 PBR만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지표와 함께 산업 동향, 시장 상황, 기업 경영상태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특히 기술 기업의 경우에는 무형자산이나 특허 등이 고려되어야 하므로 단순한 PBR만으로는 투자 가치를 판단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